요즘 스마트태그나 소형GPS에 대해서 관심이 생겼습니다.
디바이스는 여러 종류가 있는데 뭔가 비슷하면서도 다른것같고, 어떤 차이점이 있는지 찾아보면서 이곳에 정리를 해보려고 합니다.
삼성 스마트 태그
저전력 블루투스기능을 사용했으며, UWB기반이라고 하네요. - 2021년 1월14일 공개
이전에 LTE를 사용한 디바이스가 있었으나, 월요금지불해야하는 구조로 인기가 없었다고 합니다.
GPS를 사용하는 단말들이 대부분 이렇게 월 요금을 징수하는 구조이고, 또 단말 자체도 가격이 좀 나가기도 하면서
전력을 많이 소비할 수 밖에 없기때문에 자주충전해야하는 것 같습니다.
때문에 워치나 좀 눈에 뛰는 크기의 제품밖에 없는 것 같아요.
최대 통신거리 120미터라고 하지만, 아무래도 스펙상의 거리와 실 사용간에는 차이가 있을 것 같네요.
(도심은 건물이 많기도 하고, 비슷한 주파수나 통신대의 방해나 간섭도 많이 있을것 같구요)
삼성 스마트 태그는 메인 디바이스와 거리가 떨어질 경우, 마지막으로 블루투스가 연결된 위치를 휴대폰에서 확인 할 수 있다고 하네요.
연결이 끊어진 이후에는 SmartThings Find 에서 오프라인 찾기를 켜둔 다른 갤럭시가 스마트태그를 찾으면 대력적인 위치를 알 수 있다고 합니다.
이전에 삼성 스마트 태그의 혹평기사를 보면서 정확도가 떨어지는 이유에 대한 기사를 본 적이 있는데, 사용자들이 동의를 해줘야 이 기능이 정상적으로 작동할 수 있는데 다들 이걸 동의하기 꺼려한다고 해야하나, 사용하지 않는다고 해야하나 그래서 갤럭시 유저가 많지만 이 기능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다고 하네요.
배터리는 시계건전지(CR2032)사용하며, 300일 가량 사용할 수 있다고 합니다.
때문에 소형화가 가능하지 않았을까 싶네요.
또 거의 1년을 사용할 수 있으니, 연중행사로 한번 배터리 가는 것은 번거롭지 않을 것 같습니다.
나무위키에서 정보를 보는 도중, 재미있는 기사가 하나 링크되어 있네요.
삼성 스마트 태그가지고 도둑을 잡은 이야기 입니다.
!!스마트 태그로 절도범을 검거하였습니다.!!!
안녕하세요. 스마트태그를 무려 12개나 사용중인 유저입니다. ㅎㅎ 물건을 깜박깜빡 잃어버리는 저에게는 스마트 태그없이 살기가 너무 어렵네요 ㅜㅠ 다름이 아니라, 스마트 태그로 절도범
r1.community.samsung.com
위와 같은 사례가 많으면 좋으련만, 훈훈한 이야기는 많지 않은것 같네요.(혹평이 더 많은 것 같습니다.)
스마트 태그에서는 UWB라는 기술을 사용했다고 하는데요, BLE는 알겠는데 UWB라는 기술은 뭔지 몰라서 검색해보았습니다.
여기(https://tech95.kr/128)에서 설명을 너무 잘 해 놓으신것 같아요.
UWB라는 기술은 '초광대역연결'(Ultrawide Band Connectivity)이라고 불리며, 전화기와 태그가 서로 통신 할 수 있고, 더 정확한 위치를 추정 할 수 있다고 합니다. UWB장치는 짧은 펄스를 사용하여 펄스 중 하나가 다른 UWB장치로 수신되고 응답되는 데 걸리는 시간을 측정하여 통신할 수 있다고 합니다. BLE보다 훨씬 더 정확하다고 합니다.(https://tech95.kr/128에서 설명하고 있는 내용입니다.)
삼성 스마트태그는 BLE와 UWB를 모두 지원하며, UWB는 최신 갤럭시에만 작동해서 그 외의 단말에서는 BLE로 동작한다고 합니다.
아이폰은 동작하지 않나? 해서 찾아봤는데요, https://www.earlyadopter.co.kr/146522 여기에 설명을 잘 해 놓으신 것 같습니다.
애플의 에어태그
애플도 아이폰11부터 도입한 신기술 U1이라는 것이 이 UWB라고 하네요. 애플에서 출시한 에어태그에도 이 기술을 사용하고요.
블루투스, 와이파이보다 훨씬 더 정밀하게 거리 인식을 하며, 안정적으로 벽을 통과해 주변 환경인식 능력이 탁월하다고 합니다.
(에어드롭에서 이 U1칩을 활용해서 공유 대상자를 찾는다고 합니다.)
애플은 디지털 열쇠(Car Key)를 이 기술을 사용해서 만들 계획이라고 합니다.
'창업관련 > 문제인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chatGPT를 사용한 과제, 과연 검출해 낼 수 있을까 (0) | 2023.02.20 |
---|
댓글